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과학14

1-1. 컴퓨터 네트워크 기본 1 해당 글은 한양대학교 이석복 교수님의 과목 "컴퓨터 네트워크"를 공부하고 작성한 글입니다. 해당 강의를 직접 수강하시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컴퓨터네트워크 - 한양대학교 | KOCW 공개 강의 컴퓨터네트워크 인터넷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네트워크 프로토폴을 학습한다. www.kocw.net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조 인터넷 네트워크의 노드는 최초에는 4개부터 시작했다. 그러나 현재에 와서는 무수히 많아졌다. 저 위의 그림은 인터넷의 주요 서비스 제공자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위의 개념적인 그림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우리는 가장자리 끝(Edge)에 위치하게 된다. 서버는? 서버도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중심은 라우터가 위치하여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게 된다. 네트워크 엣지(network edg.. 2021. 10. 1.
[운영체제 공부] 운영체제 개요 해당 글은 운영체제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이 공부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강동현 교수님의 강의 내용과 책 "운영체제 아주 쉬운 세 가지 이야기" 제2판을 공부하고 이를 요약해본 것입니다. 나중에 다시 읽을 수 있게 정리한 글이라 다른 사람들이 읽기 쉬울지는 잘 모르겠지만, 다른 분들에게도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이 글은 처음 운영체제를 공부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운영체제를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공부한 내용이다 보니 다소 오류가 많습니다. 오류가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어떻게 실행될까? 최근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고수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다. 고수준 언어에는 과거의 것인 Fortran, Basic부터 시작해서 최근에는 C 계열 언어, Java 계열 언어,.. 2021. 3. 24.
랜덤 미로 생성 알고리즘 정리 이전 포스팅에서는 경어체를 사용했지만 긴 글을 쓰기에는 불편해서 낮춤말로 쓰려고 합니다. 이 점 양해 바랍니다. 동아리에서 미로에 관한 이야기를 하다가 동아리 선배가 미로를 생성하는 데에는 많은 알고리즘이 있다고 이야기했다. 나는 또 그런 이야기를 들으면 못 참는 성격이라서 직접 자료를 찾아보니, 당장 인터넷에만 해도 무려 한글(!) 미로 생성 알고리즘도 많아 놀라웠다. 참고할 만한 자료도 적당히 있어서 가볍게 공부하기에 적당한 주제인 데다가 도전 욕구를 자극하는 소재였다. 그래서 간단하게 유니티를 랜덤 미로 생성을 만들어보기로 했다. http://www.jamisbuck.org/mazes/ Maze Algorithms Maze Algorithms If you're interested in maze al.. 2020. 9. 8.
초심자를 위한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2편 - 알고리즘의 효율성, 시간 복잡도, 빅오 표기법(Big-O Notation) - 해당 글은 비전공자 혹은 개발 초심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입니다. 다소 비전문적이고 구어체에 가까운 표현이 등장하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이번 글은 수학적 정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최대한 쉽게 풀어쓰고자 노력했으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해당 글은 전 편의 내용과 이어집니다. 전편 보기 : https://dev-nicitis.tistory.com/2 초심자를 위한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1편 - 알고리즘 - 해당 글은 비전공자 혹은 개발 초심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입니다. 다소 비전문적이고 구어체에 가까운 표현이 등장하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정의를 포함하고 dev-nicitis.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알고리즘의 효율성, 시간 복잡도, 빅 O 표기법에.. 2020. 8. 27.
초심자를 위한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1편 - 알고리즘 - 해당 글은 비전공자 혹은 개발 초심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입니다. 다소 비전문적이고 구어체에 가까운 표현이 등장하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은 정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컴퓨터 과학 관련 전공을 하신 분이나 개발 분야에서 일하시던 분은 물론이고, 유튜브를 즐겨보는 사람이라면 흔히들 "유튜브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았다"는 식의 드립으로 이야기합니다. 유튜브에서 이해할 수 없는 맞춤 동영상이 올라올 때 그런 말을 합니다. 내가 안 보던 분야의 동영상이 올라오기도 하고, 갑자기 한 번도 들어본 적도 없는 언어의 제목도 간혹 보입니다. 신기하게도 저는 동영상의 썸네일만 보고도 신기해서 곧잘 들어가곤 합니다. 그럴 때면 제가 유튜브.. 2020. 8. 18.